격을 높이는 ‘우리말’ 어떻게 써야 잘쓰죠?

최근 방송 미디어에서 공공연하게 알아들을 수 없는 줄임말이나 비속어를 사용하면서 우리말 파괴가 점점 심각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치인이나 공직자들이 설화(舌禍)에 시달리는 경우도 자주 본다. 이런 문제의식 때문인지 최근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들이 독자들을 유혹하고 있다.‘어원의 발견’(사람in)은 문학작품 속 문장을 통해 흔히 쓰는 말의 본뜻과 역사를 살핀다. 예컨대 사람을 놀릴 때 쓰는 ‘얼레리꼴레리’는 ‘알나리깔나리’가 표준어인데, 어리고 키가 작은 사람이 벼슬해 관복을 입은 모양새가 우습다며 농담하던 ‘아이 나리’에서 유래했다. 깔나리는 운율을 맞추기 위해 붙였다. 이처럼 어원을 찾아가는 과정에 우리말 맛과 역사를 알면서 인문학적 사고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시대의창)은 문법이 제대로 서지 않은 말이나 글은 타인을 이해시키기 어렵다고 강조한다. 진짜 문법 공부란 시험을 위해 법칙을 외우는 것이 아니라 말과 글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규칙을 몸에 익히는 것이 핵심이라는 것이다. 일상 문장으로 단어의 쓰임이 적절한지, 문장이 문법에 맞는지를 따져 보면서 말과 글에 대한 감수성을 기르도록 돕는다.‘외래어 대신 쉬운 우리말로!’(마리북스)는 지난 십수 년 동안 국어 전문기관들에서 내놓은 다듬은 말 중에서 가장 시급하게 검토해야 할 360개 외래어, 일본어, 한자어를 다룬다. 금일을 금요일로 오해하거나 지양과 지향을 혼동하는 경우를 인터넷에서 자주 본다. 저자는 우리말로 써도 되는 외래어나 외국어, 뜻이나 발음이 바뀌어 사용되는 일본어, 뜻을 알기 어려운 한자어와 전문 용어 등에 대한 우리말 대안어를 제시하고 있다.저자들은 “우리말을 쓸 때 중요한 것은 자신이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말을 쓰고 있는지 생각해야 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하면서 우리말을 다듬어 사용해야 더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A person who loves writing, loves novels, and loves life.Seeking objective truth, hoping for world peace, and wishing for a world without wars.
격을 높이는 ‘우리말’ 어떻게 써야 잘쓰죠?
최근 방송 미디어에서 공공연하게 알아들을 수 없는 줄임말이나 비속어를 사용하면서 우리말 파괴가 점점 심각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치인이나 공직자들이 설화(舌禍)에 시달리는 경우도 자주 본다. 이런 문제의식 때문인지 최근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들이 독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어원의 발견’(사람in)은 문학작품 속 문장을 통해 흔히 쓰는 말의 본뜻과 역사를 살핀다. 예컨대 사람을 놀릴 때 쓰는 ‘얼레리꼴레리’는 ‘알나리깔나리’가 표준어인데, 어리고 키가 작은 사람이 벼슬해 관복을 입은 모양새가 우습다며 농담하던 ‘아이 나리’에서 유래했다. 깔나리는 운율을 맞추기 위해 붙였다. 이처럼 어원을 찾아가는 과정에 우리말 맛과 역사를 알면서 인문학적 사고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시대의창)은 문법이 제대로 서지 않은 말이나 글은 타인을 이해시키기 어렵다고 강조한다. 진짜 문법 공부란 시험을 위해 법칙을 외우는 것이 아니라 말과 글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규칙을 몸에 익히는 것이 핵심이라는 것이다. 일상 문장으로 단어의 쓰임이 적절한지, 문장이 문법에 맞는지를 따져 보면서 말과 글에 대한 감수성을 기르도록 돕는다.‘외래어 대신 쉬운 우리말로!’(마리북스)는 지난 십수 년 동안 국어 전문기관들에서 내놓은 다듬은 말 중에서 가장 시급하게 검토해야 할 360개 외래어, 일본어, 한자어를 다룬다. 금일을 금요일로 오해하거나 지양과 지향을 혼동하는 경우를 인터넷에서 자주 본다. 저자는 우리말로 써도 되는 외래어나 외국어, 뜻이나 발음이 바뀌어 사용되는 일본어, 뜻을 알기 어려운 한자어와 전문 용어 등에 대한 우리말 대안어를 제시하고 있다.
저자들은 “우리말을 쓸 때 중요한 것은 자신이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말을 쓰고 있는지 생각해야 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하면서 우리말을 다듬어 사용해야 더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What's Your Reaction?

like

dislike

love

funny

angry

sad

wow